티스토리 뷰

목차



    주거급여 지원 저소득 가정 주거비 혜택

    주거급여란? 누구를 위한 제도일까?

    주거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하나로,
    저소득 가구가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월세 또는 자가 주택 수선비용을 지원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 임차가구: 월세 일부 지원
    ✔ 자가가구: 주택 노후 상태에 따른 수선비 지원

    2025년 주거급여 지원 대상은 누구?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가 대상입니다.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이제 가구 소득만으로 판단합니다.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48% 기준 (수급 기준)

    1인 2,392,013원 1,148,166원
    2인 3,932,658원 1,887,676원
    3인 5,025,353원 2,412,169원
    4인 6,097,773원 2,926,931원
    5인 7,108,192원 3,411,932원
    6인 8,064,805원 3,871,106원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면 지원 가능
    👉 ‘복지로’에서 모의계산 가능

    지원 내용 ① 임차가구 – 기준임대료(지역별 월세 지원)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라 월 최대 기준임대료가 차등 지원됩니다.

    가구원 수 1급지(서울) 2급지(경기/인천) 3급지(광역시/세종) 4급지(기타 지역)

    1인 35만 2천원 28만 1천원 22만 8천원 19만 1천원
    2인 39만 5천원 31만 4천원 25만 4천원 21만 5천원
    3인 47만원 37만 5천원 30만 2천원 25만 6천원
    4인 54만 5천원 43만 3천원 35만 1천원 29만 7천원
    5인 56만 4천원 44만 8천원 36만 3천원 30만 7천원
    6인 이상 66만 7천원 53만 1천원 42만 8천원 36만 3천원

    ✅ 전년 대비 최대 7.8% 인상

    지원 금액은 ‘실제 임차료’ 또는 ‘기준임대료’ 중 낮은 금액을 기준으로,
    소득인정액에 따라 일부 자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자기부담 공식: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기준액) × 30%

    지원 내용 ② 자가가구 – 수선비 지원(주택 보수)

    자가 주택의 노후 상태에 따라 보수비용이 지원됩니다.

    수선 유형 수선 주기 2025년 기준 지원 금액

    경보수 3년 590만원
    중보수 5년 1,095만원
    대보수 7년 1,601만원

    ✅ 소득구간별 지원율

    • 생계급여 이하: 100% 지원
    • 중위소득 35% 이하: 90% 지원
    • 중위소득 48% 이하: 80% 지원
    • 도서지역: 10% 추가지원 가능

     자가가구 – 수선비 지원,주거급여 신청 방법

    주거급여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 장소

    📌 준비 서류

    ✔ 신청서
    ✔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 및 재산 서류
    ✔ 통장 사본
    ✔ 임대차 계약서 및 월세 영수증 (임차가구)
    ✔ 건축물대장 또는 등기부등본 (자가가구)

    ✅ 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본 사용

    📌 신청 시기

    • 365일 언제든지 신청 가능
    • 단, 소급 적용 불가 → 빠를수록 유리!

    📌 신청 절차

    1. 신청 접수
    2. 자산/소득 조사
    3. 수급자 선정 통보
    4. 급여 지급 (평균 30~40일 소요)
    5. 지금 복지로에서 신청하세요

    FAQ

    필요한 준비 서류, 더 많은 질문

    Q1. 주거급여는 누구나 신청 가능한가요?

    A1. 아닙니다.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만 해당되며, 소득인정액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Q2. 월세 전액 지원받을 수 있나요?

    A2. 생계급여 기준 이하 가구는 실제 월세 또는 기준임대료 전액 지원됩니다.

     

    Q3. 자가 보수는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

    A3. 자가 주택의 노후 상태를 확인 후, 수선 필요 여부와 지원 범위가 결정됩니다.

     

    Q4. 온라인 신청도 가능한가요?

    A4. 네, ‘복지로’에서 주거급여 온라인 신청 및 모의계산이 가능합니다.

     

    Q5. 수급자는 월세가 낮으면 적게 받나요?

    A5. 네, 실제 임차료가 기준임대료보다 낮다면 그 금액만 지원됩니다.

     

    Q6. 도서지역이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A6. 제주도 본섬 외 도서지역 수급자는 수선비용 10%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주거급여는 소득이 낮은 가정에 큰 도움이 되는 정부 정책입니다.
    특히 임대료 부담이 클수록 실질적인 생활 안정으로 이어지는 만큼, 자격이 된다면 꼭 신청해보세요.
    매달 수십만 원의 주거비 절감, 생각보다 훨씬 가까운 기회입니다.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복지로 모의계산주민센터 상담만으로도 충분히 준비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가정에 필요한 혜택, 지금 바로 챙기세요.

     

    정부지원 주거비 혜택 받기.pdf
    15.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