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임신과 출산을 앞둔 예비 부모님들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이 한층 더 강화됩니다.

    검진비, 영양제, 아기용품, 산모 건강관리까지 체계적인 지원으로 경제적 부담을 덜고

    건강한 출산 환경을조성하고자 합니다. 저소득층 맞춤 지원도 확대되며 혜택 범위가 크게

    넓어졌는데요, 지금부터 2025년 임신·출산 지원 혜택을 항목별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임신 전 건강검진비 최대 13만원 지원

     

    20~49세 가임기 남녀에게 건강검진비를 지원합니다.
    ✔ 여성: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 남성: 정자정밀형태검사
    ✅ 여성 최대 13만원, 남성 최대 5만원까지 검사비 지원
    15~19세 예비부부, 내국인 배우자 있는 외국인도 일부 대상 포함

    📌 신청: e보건소(e-health.go.kr) 또는 보건소 방문
    📌 조건: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 완료

    엽산제, 철분제, 임산부수첩까지 무료 제공

     

    보건소 등록 임산부에게 필수 영양제 및 수첩 무상 지원!
    ✔ 엽산제: 임신 전후 3개월분
    ✔ 철분제: 임신 16주 이상 시 5개월분
    ✔ 표준모자보건수첩(임산부·아기수첩) 제공

    ✅ 모바일 앱 '아이마중'으로 건강정보와 출산 정보 실시간 제공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 월 최대 20만원 지급

     

    저소득층 영아 가정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됩니다.
    ✔ 기저귀: 월 9만원
    ✔ 조제분유: 월 11만원 (모유수유 불가 시)
    ✅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 신청 시 최대 24개월 지원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또는 다자녀·장애인가구 대상

    📌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보건소, 주민센터

    첫만남이용권 200만원~최대 300만원 바우처 제공

     

    2024년 이후 출생한 모든 아동에게 지급되는 출산 바우처입니다.
    ✔ 첫째아: 200만원
    ✔ 둘째 이상: 300만원
    ✅ 사용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 (24년 이후 출생아는 2년까지 연장)
    ✅ 국민행복카드로 모든 일반 업종 사용 가능 (유흥/사행성 업종 제외)

    📌 신청: 출산서비스 통합처리신청서로 일괄 가능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 최대 213만원 지원

     

    전문 건강관리사를 가정에 파견하여 맞춤형 산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산모 건강관리(영양, 식사, 세탁)
    ✔ 신생아 목욕, 수유, 위생 관리
    ✔ 이용기간: 최소 5일 ~ 최대 40일
    ✅ 단태아 기준 최대 지원금 149만원 (연장형 기준)
    ✅ 소득 기준 초과자도 예외지원 가능

    📌 신청: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60일까지, 보건소 또는 복지로

    다양한 예외지원도 확인하세요!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소득 기준을 초과해도 예외지원이 가능합니다.
    ✔ 희귀난치질환 산모
    ✔ 새터민, 장애 산모, 미혼모
    ✔ 쌍둥이 이상 출산
    ✔ F-2, F-5, F-6 비자 외국인 배우자

    📌 예외 여부는 지방자치단체 재량 판단에 따라 결정

    임신·출산 지원 FAQ

     

    Q1. 임신 전 건강검진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A1. e보건소 또는 보건소에서 신청 후 지정 의료기관에서 받습니다.

     

    Q2. 철분제와 엽산제는 중복 지원 가능한가요?

    A2. 네, 임신 주수와 시기에 따라 중복 지원 가능합니다.

     

    Q3. 조제분유는 모두에게 지원되나요?

    A3. 아니요, 산모 사망·질병 등 모유수유가 어려운 경우에만 지원됩니다.

     

    Q4. 첫만남이용권은 어디서 사용 가능한가요?

    A4. 유흥업종 제외한 모든 일반 업종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Q5. 산모 건강관리 서비스는 누가 방문하나요?

    A5. 보건복지부 인증 교육을 수료한 전문 인력이 제공합니다.

     

    Q6. 바우처 신청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A6. 출산일 기준 전 40일~후 60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Q7. 다자녀 가정은 어떤 혜택이 있나요?

    A7. 기저귀·분유 외에 산후관리 바우처 금액이 상향 지원됩니다.

     

    Q8. 외국인도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8. 내국인 배우자가 있고 F-2/F-5/F-6 비자 소지 시 일부 혜택 가능합니다.

    마무리

     

    2025년 임신·출산 정책은 단순한 혜택을 넘어, 출산 장려와 양육 부담 경감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보건소 또는 복지로를 통해 필요한 혜택을 확인하고,
    가족의 새로운 시작을 더욱 건강하고 든든하게 준비하세요.